저는 학부라서 그런지 너무나도 많은 언어를 습득을
하지만 뭔가 깊이라고 해야할까 패러다임, 포커싱과 같은 깊은 철학을 이해하기 보다
얕은 정보로 레퍼렌스를 보면서 당장 필요한 코딩을 하기는 합니다.
제가 요즘 파이썬 수업을 듣고 있어서 그에 관해서 쓰고 파싱, 딥러닝(텐서플로우) 까지
제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블로그에 작성합니다.
일단 사전적이고 전문적인 Python에 논하기보다는 제 주관적인 관점은
Python 은 매우 직관 적이며 파싱에 능하며 C계열 과 비교하면 굉장히 널널한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전체적으로 이게되? => 응 이라고 느끼는게 절반인것 같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교육에서 당장 2018년 부터 도입이 된다니 그나마 진입 장벽이 낮은 언어이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하며 어떤 언어든 마찬가지지만 깊이 들어가면 그렇게 만만하지는 않다 라는 생각입니다.
향후 1~2년뒤면 대한민국을 Python으로 덮혀지지 않을까.... 라는 ....
PS.
요즘 되게 대한민국 학부모들사이에서 굉장한 열풍이........
당장 제가 다니고 있는 대학교 내에서도 여러 프로그램을 하는데
초, 중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두이노 관련하여 제가 직접 수업을 진행합니다만
Python 뿐만아니라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너무나도 많습니다....(학생보다는 학부모님들이요)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형(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0) | 2017.09.25 |
---|---|
자료형(문자열 응용) (0) | 2017.09.23 |
자료형(문자열) (0) | 2017.09.23 |
Phython - 자료형(숫자) (0) | 2017.09.22 |
파이썬 특징 (0) | 2017.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