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ok9의 I.T Blog

    티스토리 뷰

    자료형(문자열 응용)

    문자열 함수

    : 문자열에 내장되어있는 멤버 함수들이 있는데 자주 사용하는

      함수들을 살펴보도록 하자(저는 이 함수들을 보면서 Database SQL Quely 가 생각이 많이 나더군요)



    문자 개수 (count)

    >>> str = "CodeMonster"

    >>> str.count('o')

    2

    >>> str.count('M')

    1


    문자 위치 (find, index)

    : find 는 찾으면 인덱스를 반환을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1을 반환한다. 

      index 는 find와 같지만 존재하지 않으면 오류를 발생한다.

    >>> str = "CodeMonster"

    >>> str.find('o')

    1

    >>> str.find('a')

    -1

    >>> str.index('o')

    1

    >>> str.index('a')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ers/deok9/Documents/Develop/python/testing/test.py", line 2, in <module>

        str.index('a')

    ValueError: substring not found


    문자열 삽입 (join)
    :문자들 옆에 삽입할 수 있다.

    >>> str = "CodeMonster"

    >>> str = str.join('<>')

    >>> str

    <CodeMonster>


    소문자 => 대문자(upper)
    대문자 => 소문자(lower)

    >>> str = "CodeMonster"

    >>> str = str.upper()

    >>> str

    CODEMONSTER

    >>> str = str.lower()

    >>> str

    codemonster


    문자열 바꾸기(replace)
    : replace 의 첫번째 인자는 변경하기전 문장, 두번째 인자는 변경할 문장

    >>> str = "I'm a CodeMonster"

    >>> str = str.replace("I'm", "Your're")

    >>> str

    'You're CodeMonster'


    문자열 나누기(split)
    : split 을 사용할 경우 List형태로 리턴이 됩니다. 또 split 인자로 자신이 짜르기를 원하는 형태를 삽입 할 수 있습니다

    >>> str = "I'm a CodeMonster"

    >>> str = str.split()

    >>> str

     ["I'm", 'a', 'CodeMonster']

    >>> str2 = "A,B,C,D,E,F,G"

    >>> str2 = str.split(',')

    >>> str2

     ['A', 'B', 'C', 'D', 'E', 'F', 'G']


    이하는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므로 예제는 생략하겠습니다.

    공백 지우기
     - 왼쪽 공백 지우기(lstrip)
     - 오른쪽 공백 지우기(rstrip)
     - 양쪽 공백 지우기(strip)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형(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0) 2017.09.25
    자료형(문자열)  (0) 2017.09.23
    Phython - 자료형(숫자)  (0) 2017.09.22
    파이썬 특징  (0) 2017.09.22
    Python이란?  (0) 2017.09.22

    Comments